용인신문 | 용인시 수지구 주민들의 흡연율이 경기도 내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간 음주율도 용인지역 내 3개구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민의 금연, 절주, 걷기 실천 지표인 ‘건강생활실천율’이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이후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는 지난해 도내 48개 보건소에서 실시한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주요 결과를 지난 13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난해 5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표본가구로 선정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가구를 방문해 일대일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항목은 건강행태(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 등),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등) 등이다. 지난해 조사는 도내 4만 3636명을 대상으로 17개 영역 172개 문항을 조사했다.
도에 따르면 금연, 절주, 걷기 모두를 실천한 복합지표인 ‘건강생활실천율’이 전국 중앙값 36.2%보다 4.5% 높은 40.7%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 2008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경기도의 건강생활실천율은 2014년 28%로 낮아졌다가 2023년 38.5%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년 만에 다시 갱신했다. 시‧군별로는 과천시 57.9%, 성남시 분당구 56.5%, 용인시 수지구 54.7% 순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수지구, 흡연율 도내 최저
‘흡연’ 영역에서는 ‘남자 현재흡연율’이 32%로 전국 중앙값 34%보다 2% 낮았다.
‘현재 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계획률’은 지표가 추가된 2021년도부터 4.1%→4.4%→4.6%로 매년 증가해 2024년도에는 5.4%에 도달했다. 이는 전국 중앙값 4.7%보다도 0.7% 높았으며, 여주시 13%, 의정부시 11.1%, 안양시 동안구 9.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용인시 수지구의 경우 흡연율 9.1%로 경기도 내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기흥구는 13.3%로 5위, 처인구는 18.5%로 21위를 차지했다.
남성 흡연율의 경우 수지구가 17.3%로 조사 대상 시·군·구 중 가장 낮았고, 기흥구는 25.3%로 8위, 처인구는 31.1%로 20위에 올랐다.
여성 흡연율은 수지구가 1.1%로 과천시(0.2%)에 이어 2위에 올랐으며, 기흥구는 1.4%(5위), 처인구 6.1%(33위)로 조사됐다.
△ 처인구, 음주 고위험율 높아
‘음주’ 지표인 ‘연간 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15.7%로 지난해 보다 0.2% 감소했으며, 전국 중앙값 16.6%보다 0.9% 낮았다. 도내에서는 과천시가 6.7%로 가장 낮았다.
용인지역 월간 음주율을 살펴보면 기흥구가 53.2%로 3개구 중 가장 낮았으며, 처인구는 60.5%, 수지구는 60.8%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음주 고위험율은 기흥구 13.0%, 수지구 13.5%, 처인구 21.6%로 조사돼, 처인구 주민들의 음주 고위험율이 수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간 건강 격차를 줄이고, 도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용인시청 내 흡연장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