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3.6℃
  • 구름많음강릉 27.5℃
  • 박무서울 23.7℃
  • 구름조금대전 25.2℃
  • 맑음대구 26.3℃
  • 구름조금울산 27.4℃
  • 박무광주 25.1℃
  • 구름많음부산 25.2℃
  • 맑음고창 25.9℃
  • 맑음제주 26.3℃
  • 구름많음강화 22.6℃
  • 구름많음보은 24.5℃
  • 맑음금산 24.6℃
  • 구름많음강진군 25.4℃
  • 맑음경주시 27.9℃
  • 맑음거제 25.8℃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이 만난 사람

용인이 제2의 고향…“그들에 이름을 불러주세요”

만남 | CLC 부설 이주노동자인권센터

2002년 설립…한국언어 문화교육 등 인권보호 활동

   
 
“블랑카...우리의 고향은 용인입니다”, “이주노동자란 말 대신 우리의 이름을 불러주세요”

지난 2002년부터 이주노동자 한국어교실과 무료검진사업 등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국CLC부설 이주노동자센터. 이곳에서는 인도, 쓰리랑카, 몽골, 파키스탄, 방그라데시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진 용인시민들이 한국어도 배우고 정보도 교환하며 희망을 싹을 티우고 있다. 물론 그들은 대부분이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다.

이주노동자인권센터의 김소령 사무국장은 “이주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 등 많은 말들도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을 부르지만 그것은 그들을 차별하는 단어”라며 “용인에서 함께 살아가는 이웃을 대하거나 가까운 친구의 이름을 부르는 것처럼 그들에 이름을 불렀으면 한다”고 전했다.

이주노동자센터는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2002년 6월 설립됐다. 설립 후 이주노동자들이 겪게 되는 직접적인 인권침해의 예방과 해경을 지원하고 인권침해를 야기하는 사회구조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특히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형성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 오고 있다.

김 사무국장은 “미등록 노동자들이 용인에서 열심히 일하지만 불법체류자란 낙인으로 소외 받고 살고 있다”며 “우선 이들을 보호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할 목표다”고 말했다.

이주노동자인권센터 한국어교실에서 주말마다 4년째 한국언어 문화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주노동자인권센터엔 ‘코리안 드림’을 꿈꾸는 아시아 각국의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이주민 가정 자녀 등이 자원봉사자 20여 명으로부터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다.

이주민들은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낯선 이국땅에서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함께 사는 이웃이라는 인식을 위해 매월 어린아이들을 위한 ‘아시아 친구하기’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이주 노동자가 직접 유치원 아이들을 초청해 그 나라의 문화와 노래 그리고 자신의 살아온 이야기를 들려준다.

김 사무국장은 “처음엔 낯선 피부색의 아저씨 아줌마가 어색해 하는 어린이들이 많지만 수업이 끝나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싸인도 박도 다정하게 다가간다”며 “아이들에게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도 알리지만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심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주노동자인권센터는 이주노동자들의 인권 보호를 위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것이 함께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을 들었다. 그 다음으로 정부의 제도적 변화. 특히 불법체류자들의 강제 출국에는 가장 큰 문제점들이 산제하고 있다고 들었다.

김 사무국장은 “22만이 넘는 전국의 이주 노동자들 중 50% 이상이 미등록 노동자인데 그들을 강제로 출국 시킨다고 무엇이 해결 되겠느냐”며 “한국에서 수년 동안 열악한 환경에서 열심히 일하는 댓가 치고는 너무나 가혹한 현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부에서 정해 놓은 이주노동자조례법에도 미등록 노동자에 대한 조항 은 단 한군데도 없다”며 “지자체 에서라도 조례개정을 통해 미등록 노동자들에게 조금이나마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강조하고는 정부와 자치단체 등은 민간인들이 운영하는 센터의 뒤에 서있지 말고 직접적인 제도를 마련해 이주노동자들을 보호하는 주체가 되는 지원을 해야한다고 전했다.

“10년 넘게 한국에서 생활하다 강제 출국 당하는 노동자들 대부분은 한국을 자신들의 진정한 고향이라고 말한다”며 “하루 빨리 인권 사각지대에 놓인 그들을 위해 보호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