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21.1℃
  • 구름조금강릉 11.7℃
  • 맑음서울 21.9℃
  • 구름많음대전 21.7℃
  • 구름조금대구 17.8℃
  • 구름많음울산 11.8℃
  • 구름많음광주 19.3℃
  • 구름많음부산 13.9℃
  • 구름많음고창 15.7℃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7.7℃
  • 구름조금보은 21.8℃
  • 맑음금산 20.1℃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3.6℃
  • 흐림거제 13.4℃
기상청 제공

의학칼럼/만성 요통의 원인(하)

송상헌 강남병원 정형외과 과장

▷ 열도 나고 몸무게도 줄었어요.
이유 없이 체중이 감소할 때는 앞에 설명한 전이암 등을 우선 생각해 보아야 하나, 열도 나고 몸무게도 줄어든다면 척추의 감염성 질환을 우선 생각해야 한다.

척추의 감염에는 일반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척추염과 결핵균에 의한 결핵성 척추염이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결핵의 빈도가 높은 나라이다. 따라서 결핵성 척추염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척추 질환 중의 하나인데, 다행인 것은 요즘은 진단도 빨리 되고 치료법도 발전하여 예전과 같이 꼽추가 되거나 하지 마비까지 진행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점이다.

결핵성 척추염은 감염성 척추염에 비해 뼈가 천천히 파괴되기 때문에 방사선 상 보이는 뼈의 파괴는 심하여도 환자의 증상은 그리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진단도 늦어질 수 있고 환자들이 자기 병의 중한 정도를 과소평가 할 수도 있다. 이 병은 항결핵제로 잘 치료가 되나, 일부의 환자는 결핵약을 의사의 지시대로 복용하지 않아 치료에 애를 먹는 경우가 있다. 감염성 척추염은 요통이 매우 심한 경우가 많아 대부분 조기에 진단이 된다.

▷ 허리도 아프고 소화도 안 되고 두통도 있어요.
여러 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서 내과, 신경과, 정형외과 등 여러 과를 전전하며 각종 검사를 받아 보아도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환자들이 있다. 이런 환자들은 의학적인 검사 결과는 정상 범위에 들지만 전신적인 건강상태가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의 경우 결혼하고 집에서 가사 일을 하고 아이를 돌보느라고 제대로 운동할 시간이 없거나 본래부터 운동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에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이런 경우에는 규칙적인 운동과 섭생으로 전신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많거나 스트레스에 약한 심성을 지닌 사람들도 이런 증상을 호소할 수 있는데, 본인이 말 못할 고민이 있으면 부끄러워하지 말고 정신과 의사와 면담을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의사의 입장에서도 처음에 진찰을 해보고 위의 두 가지 경우에 해당될 것으로 생각 되더라도 다른 중한 원인이 숨어 있는지는 꼭 확인해 보아야 하는데, 이런 환자를 진료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으므로, 바쁘게 환자를 보다 보면 자칫 선입견에 치우쳐서 중요한 질환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환자일수록 의사들도 많은 대화를 나누어 줄 필요가 있으며, 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한지, 왜 정신과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한지를 잘 이해시키고 설득시켜야 한다.

위에 설명한 여러 가지 원인 외에도 십이지장 궤양이 있거나 췌장에 문제가 있어서 등이 아플 수도 있고, 여성의 자궁내막염이나 골반 내 염증으로도 허리가 아플 수 있다. 대동맥류(aortic aneurysm)도 심한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데, 파열되면 심한 내출혈 때문에 사망률이 50%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이와 같이 만성 요통을 유발하는 질환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에는 대동맥류처럼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도 있고, 퇴행성 추간판증처럼 흔하지만 치료 방침이 모호한 질환도 있다. 만성 요통이 있는 분은 치료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우선 판단하여야 하므로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

만일 중한 질환이 발견되면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할 것이고, 다행히 중한 질환은 없다고 판명되면 허리의 퇴행성 변화와 관련된 증상으로 생각하여 꾸준히 허리 강화 운동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운동을 찾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문의 031)30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