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21.1℃
  • 구름조금강릉 11.7℃
  • 맑음서울 21.9℃
  • 구름많음대전 21.7℃
  • 구름조금대구 17.8℃
  • 구름많음울산 11.8℃
  • 구름많음광주 19.3℃
  • 구름많음부산 13.9℃
  • 구름많음고창 15.7℃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7.7℃
  • 구름조금보은 21.8℃
  • 맑음금산 20.1℃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3.6℃
  • 흐림거제 13.4℃
기상청 제공

결핵이란?<상>

이형노 | 강남병원 호흡기내과

결핵은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흔한 질환입니다.

결핵이라 하면 흔히 폐결핵만 생각하기 쉬우나 결핵균은 온 몸에 전염될 수 있으며 침범하는 장기에 따라 특이한 증상을 나타내 림프절 종대, 혈뇨, 뇌수막염, 만성 설사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거에 결핵은 치료약제가 없어 휴식과 영양 섭취 등의 보조적인 수단에 의지하였으나 현재는 효과적인 약제가 개발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완치가 가능한 질병입니다.

♣ 우리나라에서의 결핵
현재 우리나라의 결핵발병률(10만 명당 88명, 2006년 통계)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결핵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도 낮고 치료에도 소홀한 실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2007년 결핵환자 보고서에 따르면 약 2400여 명이 결핵으로 사망했습니다.
이는 한국인 사망 원인 중 10위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집단생활의 증가, 불규칙한 생활과 식습관 등으로 인하여 꾸준히 감소하던 결핵 발병률이 2004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매년 약 3만 명 이상의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젊은 층의 결핵환자 발생이 두드러져 2006년의 경우 60세 이상 결핵환자 발생 수가 10만 명당 167명으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10만 명당 88.3명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렇게 젊은 연령의 결핵 환자가 많은 이유는 이들이 사회활동이 많아 전염력 있는 결핵 환자와 접촉할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젊은 층 결핵환자들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적은 노인층 결핵환자에 비해 결핵을 전염시킬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그리고 젊었을 때 결핵에 걸렸던 사람은 나이가 들어 면역력이 약해지면 결핵이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결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들 20~30대 젊은 층의 결핵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결핵의 감염 경로
주로 폐결핵 및 후두결핵 환자에서 나오는 침방울을 흡입하여 감염되며, 혈액을 통한 전신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점막과 상처 난 피부를 통해 직접감염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매우 드뭅니다. 전염성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 약 35~65%만이 감염되고 이 중의 약 10% 정도만이 일생에 걸쳐서 발병을 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폐결핵으로 발병하며, 폐외 결핵은 전체 성인결핵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하며 소아의 경우에는 25% 정도가 폐외 결핵입니다.

대표적으로 침범되는 부위로는 림프절, 비뇨기 계통, 소화기 계통, 뼈와 관절, 복막, 심낭, 뇌막 등이 있습니다. 일차 감염자의 90~95%는 평생 동안 재활성화 가능성이 있는 잠복 감염으로 이행합니다. 031)300-0225
<다음호에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