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어깨질환의 대명사인 오십견에 비해 생소한 어깨 충돌증후군. 주로 운동을 좋아하는 젊은 연령대에 흔하며 특히 봄철 운동량 증가로 발병률이 높아지는 질환이기도 하다. 명칭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어깨를 움직일 때 인대나 뼈, 힘줄의 충돌로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어깨에 계속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어깨 관절 가동 범위 이상으로 무리한 동작이 이뤄졌을 때 나타난다. 처음에는 가벼운 손상과 염증으로 시작되나 지속될수록 어깨 주변이 닳아 가는 퇴행성 질환으로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하지만 최근 야구·수영·골프와 익스트림스포츠 등 여가 활동을 즐기는 젊은 층에도 느는 추세다.
- 오십견으로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 많아 주의해야
어깨의 불룩한 부분인 견봉과 어깨 힘줄 사이가 좁아지면서 인대 또는 뼈와 힘줄이 부딪쳐 염증이 발생한다. 나이가 들면서 오십견으로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어깨질환의 경우 통증이나 움직임 제한 등 증상이 오십견과 비슷해 판별이 쉽지 않다. 팔을 쭉 편 상태에서 들어 올리거나 어깨높이에서 엄지손가락이 땅을 가리키도록 팔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할 때 어깨가 아프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환자들은 이 밖에 주로 머리 위쪽에서 팔을 움직일 때 통증과 근력 약화를, 팔을 들 때 어깨 속에서 무언가 걸리는 듯한 느낌 등을 호소한다. 초기에 움직일 때만 통증이 있다가 점차 통증 주기가 짧아지고 가만히 있어도 하루 종일 통증이 지속된다. 낮보다는 밤에 아픈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잠이 깰 정도의 통증을 호소한다.
- 초기는 재활 치료 가능, 이후 관절경으로 병인 제거해야
어깨 통증이 느껴지면 우선 통증 유발 자세를 피하고 완화를 기다려 본다. 하지만 호전이 안 된다면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극상 건 손상이 발견되면 관절경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수술 치료를 할 수 있다.
약간의 염증만 보이는 초기 환자는 꾸준한 운동재활치료로 충분히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혹 회전근개 손상이 동반된 경우나 만성인 환자는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대부분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협소한 견봉과 힘줄 사이 공간을 넓게 만드는 방법을 적용한다. 관절 내시경 수술은 절개 부위가 작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수술은 염증 부위를 제거하고 견봉 아래쪽 거칠어진 부위를 매끄럽게 다듬어 주는 과정을 거친다.
어깨는 치료와 수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재활 운동을 통해 치료가 확실히 마무리돼야 재발과 후유증 걱정 없이 건강한 어깨를 유지할 수 있다. 재활 훈련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최소 6개월 정도 소요되며 통증을 줄이고 어깨 운동범위를 점차 늘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