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예술인 기회소득, 용인시는 왜 외면하는가?

 

용인신문 | 얼마 전 수도권 문인 모임에 나갔다가 한 작가로부터 뜻밖의 질문을 받았다.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신청하셨어요?” 순간 당혹감이 얼굴에 스치는 것을 감출 수 없었다. 나는 그런 제도가 있는 줄도 몰랐고, 설령 알았더라도 내가 사는 용인시는 사업 대상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다른 지역 작가들은 당연한 권리처럼 이야기하는 지원금을, 같은 도내에 사는 나는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씁쓸함과 함께 일종의 소외감이 밀려왔다. 게다가 언론 종사자이면서 소위 시를 쓴다며 자칭 타칭 시인이라는 작자가 지역 내 예술인들의 복지 정책에는 너무 무관심했었다는 자괴감마저 들었다.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은 예술 활동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연 15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예술을 노동으로, 예술인을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주체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 의미 있는 정책의 온기가 경기도 모든 예술인에게 닿지 않는다는 현실이 아이러니하다.


용인시를 비롯해 고양시, 성남시가 사업 불참을 선언하면서 이 지역에 사는 1만 명이 넘는 예술인들은 배제되었다. 그렇다고 누구 하나 공식적으로 조직적 항의를 했었다는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다. 그런 존재가 바로 예술인이다. 하지만 그들은 매우 크게 실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직간접으로 들어 확인할 수 있었다.


솔직히 말해 용인시는 평소에도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책이 매우 빈약한 지자체다. 예술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은 부족하고, 문화 관련 예산 역시 110만 특례시라는 위상에 걸맞지 않게 적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그런 용인시가 경기도 예산을 보태주는 매칭(50대50) 사업마저 거부한 것은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처사다. 지역 예술인들의 열악한 창작 환경을 개선할 의지가 있는지, 나아가 문화예술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는 있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갖게 한다.


이는 단순히 150만 원을 받고 못 받는 금전적 문제를 넘어선다. 이것은 존중과 자존감의 문제다. 내가 사는 도시로부터 예술인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박탈감의 문제다. 누군가는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이야기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는 사라지는 비용이 아니라 도시의 품격과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가장 확실한 투자다. 예술인이 떠나는 도시, 예술인의 창작 의욕이 꺾이는 도시의 미래가 과연 밝을 수 있겠는가.


올해 사업은 이미 시작되어 늦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내년은 달라야 한다. 용인시는 지금이라도 행정 편의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지역 예술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왜 수많은 예술인이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지, 우리의 이웃 도시 예술인들은 누리는 혜택을 왜 우리는 누리지 못하는지 명확히 설명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예술은 도시의 영혼이다. 부디 내년에는 용인시가 지역 예술인들의 영혼을 보듬는 결정을 내리기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