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공지능의 시작, 세계 최초 백과사전

 

 

용인신문 | 박물지는 백과사전을 말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전은 기호의 순서에 의해 정보를 나열하지만 백과사전은 기호를 계열별로 나눠 나름의 체계와 세계관을 품고 출간된다. 플로니우스가 출간한 박물지는 서기 100년 이전에 출간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동물지> 이후 세계 최초의 백과사전이다. 이 사전에는 자연사뿐만 아니라 “인간과 관련된 인문학에 대한 정보와 민족의 역사를 이야기 형식으로 엮어”냈다. 물론 어떤 정보는 들은 이야기를 적기도 했지만 그가 남긴 저술은 아직까지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환상적인 동물들은 게임이나 판타지에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노마드에서 번역 출간한 『폴리니우스 박물지』는 가이우스 클리니우스 세쿤두스가 원작자이고 존 S. 화이트가 대중이 쉽게 읽을 수 있게 엮은 책이다.

 

백과사전의 일부를 살펴보면 금화를 인간의 행복을 저해한 물건으로 소개한 것이 흥미롭다. 주조한 사람도 인식하지 못했다는 기록을 통해 돈이 가진 편리함 뒤에 숨은 부정적인 면모를 일찍부터 인지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은에 대한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반면, 은이 일상에 쓰는 거울이 되었을 때는 감탄을 드러낸다. 뒤이어 일상과 제의에 쓰이는 은 세공품을 소개하고 역사적인 사건까지 소개한다.

 

요즘엔 인공지능에게 지식을 묻는 추세이지만 그 지식은 아직까지 인간이 가진 복잡성을 구현해 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공지능 시대에 진정한 지식이란 무엇인지 다시 한번 고민하게 되는 저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