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대한민국이 13년째 금메달을 놓치지 않은 종목이 있다.<민들레언론 참조.> 바로 노인빈곤율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 그것도 압도적인 1위를 13년째 고수하고 있다. 지난 12월 19일 OECD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나타났다. OECD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게 40%를 넘었고, 전체 평균(14.2%)의 3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소득 빈곤율은 평균 소득이 빈곤 기준선인 ‘중위가구 가처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의 비율이다. 한국은 지난 2009년 OECD가 노인빈곤율을 집계해 발표하기 시작한 2008년 기준부터 계속하여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한국의 40.4% 다음으로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 리투아니아(27.0%), 미국(22.8%), 호주(22.6%), 일본(20.0%), 영국(13.1%), 캐나다(12.1%), 독일(11.0%), 이탈리아(10.3%), 프랑스(4.4%), 덴마크(4.3%), 노르웨이(3.8%), 아
[용인신문] 조선일보 12월 19일 기사에 한국·러시아 다문화 자녀 1만여 명 ‘불법체류자 신세’라는 기사가 실려 유심히 살펴보았다. 조선일보 기사를 인용하면 한국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최 아무개(19) 씨는 두 나라에 모두 출생신고가 됐지만 한국 국적을 기준으로 살아왔다. 한국에서 초·중·고를 다녔고 주민등록증도 받았다. 그는 한국 여권으로 5차례 해외여행도 다녀왔다. 올해 초에는 병역을 다하기 위해 신체검사도 받았다. 그런데 최 씨는 입대를 위해 지난 6월 러시아 국적을 포기하려고 출입국관리사무소에 갔다가 ‘불법체류자’ 통보를 받았다. 한국 국적은 말소되고 러시아 국적만 가진 상태에서 불법으로 한국에 체류했다는 판정이었다. 최 씨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한국인으로 살아왔는데 이런 황당한 경우가 어디 있느냐?”고 항의했지만, 한국 국적을 인정받지 못했다. 구청과 주민센터에서는 “여권과 주민등록증을 잘못 발급해 줬다”라는 답변만 들었다. 최 씨처럼 자신도 모르게 불법체류자가 된 사례는 최대 1만 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사례는 2002년 러시아가 국적법을 개정하면서 시작된 일이다. 최 씨는 러시아 정부가 ‘러시아 영토가
[용인신문] 2023년도 이제 며칠밖에 남지 않았다. 2024년이 되면 올해보다는 나아지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걱정이 태산이다. 가구당 1억 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는 우울한 뉴스가 서민의 가슴을 짓누른다. 게다가 노인빈곤율이 13년째 OECD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뉴스가 우울하다. 60세 이상이 곧 20%에 달하면서 초고령사회 진입이 확실시되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 문제는 마냥 피할 수 없는 시한폭탄인 것이 확실해졌다. 2050년에는 60세 이상이 전체인구의 절반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접하면 더욱 우울해진다. 사회 일각에서는 ‘현재 65세로 되어 있는 노인 연령을 70세로 올려야 한다’라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그것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노인의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빈곤율은 13년째 압도적인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역대 그 어느 정부보다 안보를 강조하고 한미일 협조체제를 중시했다. 현재 한국은 안보보다 더 중요하게 발등에 떨어진 불이 가구당 1억 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압도적인 노인빈곤율이다. 대통령은 2024년부터는 외교·안보보다 민생(民生)을 우선시해야 한다. 대통령과 정부뿐만 아니라 국회의 절대
[용인신문] 동양인이 가장 선호하는 미모를 갖춘 ‘미녀의 肖像’ 장쯔이(章子怡) 장쯔이는 1999년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의 ‘집으로 가는 길’(我的父親母親)로 전세계에 얼굴을 알렸다. 당시 20세의 장쯔이는 아련한 추억을 소환하면서 한국의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장쯔이는 와호장룡(2000), 영웅(2002), 연인(2004)에 출연하면서 글로벌 월드 스타로 떠올랐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한 ‘게이샤의 추억’(2005)에 출연하면서 대륙을 대표하는 간판 여배우가 되었다. 장쯔이의 연기는 해맑고 순수하다. 궁리(鞏悧)같은 압도적인 카리스마는 보여주지 않지만 장쯔이의 연기를 보면 단아하고 정갈하면서도 깊이가 있다. 와호장룡(臥虎藏龍)에서 보여준 장쯔이의 연기는 할리우드 영화관계자들을 매료시켰고 그녀가 월드스타로 부상하는 데 발판이 되었다. 그에 비해 스티븐 스필버그가 야심차게 제작한 ‘게이샤의 추억’은 영화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이는 제작자인 스티븐 스필버그와 감독인 롭 마셜이 일본의 문화의 겉모습에만 심취하여 게이샤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예고된 결과였다. 장쯔이는 ‘게이샤의 추억‘으로 명성은 얻었지만 연기경력에 오히려 오점을 남겼다. 게이샤의
[용인신문] 일본을 대표하는 신세대 여배우 고마츠 나나(小松菜奈) 고 마츠 나나(Nana Komatsu)는 1996년 2월 16일생으로 올해 만27세다. 요코하마에 인접한 야마나시현(山梨縣) 출신으로 일본 여배우로는 보기 드문 서글서글한 인상에 커다랗고 검은 눈동자, 새하얀 얼굴에 미소가 상큼하고 매력적이다. 고마츠 나나는 얼핏 보면 백인 혼혈로 보인다. 그런데 그녀는 1609년 일본 가고시마의 사쓰마국의 침공으로 복속된 류큐왕국 토착민의 혈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류큐왕국은 오키나와섬 일대, 류큐제도(琉球諸島)에 위치했던 일본으로부터 독립된 왕국이었다. 류큐왕국은 일본, 조선,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활발한 교역활동을 벌여 번성했던 소왕국이다. 각지에서 무역상들이 몰려들어 일본 본토인과 별개의 인종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오키나와에는 미인이 많다. 고마츠 나나는 일본 여배우로는 큰키인 168cm로 2010년‘비눗방울’에 출연하면서 영화에 데뷔하여 2014년 일본의 국민배우 야쿠쇼 코지와 ‘갈증’에서 부녀지간으로 공연(共演)하면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거의 1년에 한두 작품씩 출연하면서 2016년 ‘나는 내일, 어제의 너를 만난다
[용인신문] 오늘은 집에 들어왔는데 따스한 기운이 훅 밀려왔다. “아! 보일러 안 끄고 갔구나…” 하면서도 작년 이맘때가 생각났다. 작년엔 추운 겨울을 보냈다. 처음 독립하고 나야 하는 겨울 가스비가 무서웠다. 어느 누구도 그렇게 하라고 하지 않았지만 춥게 지냈다. 방바닥을 시리게 하고 잔뜩 움츠리고 지내니 몸도 마음도 추운 날들이었다. 올해는 더 따듯하게 지내기로 했다. 요새는 사람 만나는 걸 줄이고, 조금 더 자고 집에 있는다. 이번 겨울엔 어디 가지 않고 집이랑 친해질 것이다. 겨울은 힘을 비축하는 기간이라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죽은 것처럼 보이는 나무들은 봄을 기다리면서 기다리고 있을 뿐이라고. 잎사귀를 다 떨구고, 내실을 다지면서 동안거에 들어갈 준비를 해야지.
[용인신문] 불확실하고, 상대에 따라 견고함이나 형상을 달리하는 벽(684쪽). 지독히도 관계를,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언어와 사건으로 엮은 소설이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이다. ‘나’와 ‘너’가 대화 속에서 구축한 도시는 형상이 있으나 표현할 수 없으며, 아무나 드나들지 못하고, 그곳에 갈 때는 그림자를 버리고 들어가야 한다. 특별한 사건보다는 인물의 심층적인 내면을 느린 속도로 세밀히 탐색해 나가는 과정이 중심 서사이다. 깊은 탐색 과정으로 인해 작가의 다른 소설보다 고요한 작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벽은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움직인다. 10대의 강렬한 만남은 한 남자를 40대 중반이 되도록 정처를 찾지 못하게 만들고, 그 공허를 해소하지 못한 남자는 어느 날 갑자기 벽 안에 도착한다. 벽 안에서의 삶에서 별다른 의미를 찾지 못한 남자는 또 어느 순간에 벽 바깥에 있음을 감지한다. 소설은 남자의 시선을 따라가며 현실과 비현실을 오버랩시키며 독자를 혼돈에 빠지게 만든다. 뉴스에 등장하는 전쟁 혹은 정쟁, 범죄, 사건과 사고 등의 범람은 저마다의 사람들이 견고한 성을 짓게 만들고 그 속으로 침잠하게 만든다. 주인공이 벽에 들고 나는 방법
[용인신문]
[용인신문] ‘아무도 2등은 기억하지 않습니다’ 30년 전에 나온 광고 문구다. 광고주는 삼성이다.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 전략의 상징과도 같은 문구는 신문과 방송에서 무차별적으로 쏟아졌다. 광고는 ‘승자독식 사회’의 선언문처럼 강렬했지만, 우리 삶 속으로 부드럽게 스며들었다. 승자에게 부여되는 보상은 당연한 권리가 되었다. 다채로운 능력과 다양한 재능을 지닌 사람보다 어떤 분야의 천재가 세상을 구하는 존재로 대접받았다. 일등을 차지한 그는 자본주의 시장의 절대 신과 같은 존재였다. 승자가 차지한 독점과 독식의 세상이 물질 만능주의라는 비판이 따라왔지만 멈추지 않았다. 극단적 이기주의가 성공한 자산가의 이미지로 포장됐다. 서로서로 격려하고 위로하는 연대는 무너졌다. 이해관계가 아닌 만남은 부담스러워졌다. 고통에 대한 공감과 슬픔에 대한 나눔은 갈수록 버거워졌다. 만사형통, 자본과 권력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사회, 부의 세습으로 계층 이동 사다리는 사라져버렸다. 제로섬 사회와 하류사회, 잉여사회라고 자조하는 탄식의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사회적 공감과 소통의 부재는 민주주의의 퇴보로 이어졌다. 상대에 대한 존중이 무너지는 사회는 민주주의의 가치와 원칙을 잠
[용인신문] 상갈동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입니다. 저는 아침마다 상갈역을 이용해 통학을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걸어서 다니지만, 시간이 촉박할 경우 자가용을 이용할 때도 있습니다. 문제는 상갈역 인근에 주차장이 없다는 것입니다. 시청에 문의해 보니 ‘검토해 보겠다’는 답변만 받았습니다. 인근 상갈 공영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10분 이상 도보로 걸어와야 합니다. 수도권 대부분의 전철역 인근에는 주차 시설이 있는데 상갈역은 주차 공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상갈역은 인근 보라동과 공세동 등 많은 주민들이 이용하는 역입니다. 하지만 주차공간 부족으로 많은 분들이 불법 주정차를 한 후 이용하는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상갈역이 개통한 지 벌써 10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주차 관련 민원이 이어졌을텐데,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상갈역 주차공간 부족 문제를 꼭 해결해주십시오.
[용인신문]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생각하는 부부의 노후 적정생활비는 월 277만 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는 비용이 약 20% 증가한 330만원으로 올랐다. 현재 국민연금으로는 부부가 나란히 20년 이상 꼬박 부어도 매달 평균 수령하는 연금은 196만원(1인 98만원) 정도에 불과하여 노후 비용을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원이 지난해 8월1일부터 11월 23일 전국 50세 이상 4024가구(6392명)을 대상으로 한 ‘제9차(2021년도)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 준비 실태조사’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50세 이상인 사람과 그들의 배우자에게 경제 상황, 건강, 노후 준비 등에 대해 묻는 것으로 2005년부터 격년으로 실시해왔다. 50대 이상 중·고령자에게 특별한 질병 등이 없는 건강한 노년을 가정할 때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물은 결과 부부는 월 277만원, 개인은 177만3000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울 거주자는 생활비가 더 들어 부부의 적정생활비는 330만1000원 개인은 205만 3000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광역시(279만9000원, 173만9000)나 도 지역
[용인신문]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부채가 1억원에 99.8%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미국 연준(Fed.)과 연동금리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은행도 덩달아 기준금리를 상향해야 한다. 아시아에서 미국 연준과 연동금리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한국과 대만뿐이다. 일본은 연준이 5%대로 금리를 올려도 1%대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시작한 2년여 전부터 국내의 민간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여 2년 만에 2배 이상으로 금리가 올랐다. 1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가구는 이자 부담이 월 30여만 원, 연 360만 원을 더 부담하고 있는 현실이다. 미국 연준은 말로만 연방은행이지 100% 민간자본으로 설립한 민간은행이다. 한국은 IMF 금융위기 때 미국의 금융시장 개방압력에 굴복하여 연동금리를 받아들인 이후 3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미국 연준의 금리와 연동하여 금융·통화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2001년 IMF에서 빌린 구제금융을 2000년에 모두 갚고 2001년 8월23일 IMF 졸업을 공식 선언했다. 이때부터 미 연준과 연동금리정책을 폐기하고 한국은행이 독자적인 금융·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