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안성 변전소와 고덕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송전선로 통과지역이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재 거론되고 있는 4가지 송전선로 후보지 모두 용인지역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노선의 경우 대부분의 노선이 용인지역을 관통하는 것으로 작성돼 있어 지역사회를 비롯한 환경단체 등의 반발이 전망된다.
특히 용인지역의 경우 이미 변전소 12곳을 비롯해 고압 송전선로 455기가 지역 곳곳을 관통하고 있는데다, 송전선로 통과 예정지역인 이동·남사면의 경우 평택시와 송탄상수원 보호구역 등을 두고 갈등을 겪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고덕산업단지는 평택시 고덕면, 지제동, 장당동 등 395만㎡ 규모로 조성되는 대단위 산업단지로 삼성전자는 이 중 289만㎡에 반도체라인을 설치 중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17년까지 1차로 15조 6000억 원을 투자, 세계최대 규모의 단일 반도체생산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삼성전자는 지난 2005년 이 같은 반도체 단지를 처인구 남사면 지역에 건설하려 했지만, 평택시 측이 상수원 기능을 잃은 송탄상수원 보호구역 존치를 주장해 무산됐다.
시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평택시 고덕산업단지에 입주하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 공장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평택 고덕변전소와 서안성변전소(양성면 장서리)를 연결할 345㎸ 고압송전선로를 15㎞ 구간에 건설할 예정이다.
당초 한전 측은 안성시 등에 서안성 변전소에서 용인시 이동면 어비리와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및 산정리 경계지역 산등성이를 따라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나 송전선로가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안성시 원곡면과 양성면 지역 주민들과 안성시의회 측이 거세게 반발하자 수정안을 제시했다.
안성시 원곡면과 양성면 주민들은 이장협의회 등을 주축으로 추진위원회를 구성, 마을별로 현수막을 내거는 등 반대운동을 시작했다. 안성시의회 역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선 상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한전 측은 이동면 어비리와 남사면 방아리, 원암리, 전궁리, 진목리를 통과해 안성시 구간을 최소화하는 안과 용인시와 안성시 경계지역을 따라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안 등 3개 안을 추가했다.
이 중 이동면 어비리와 남사면 방아리와 원암리를 거쳐 안성시 지역으로 이어지는 제2안의 경우 원암리 지역 주거단지를 관통하게 된다.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송전선로가 건설되는 용인시·안성시 지역과 달리 고덕산단 인근의 평택지역의 경우 송전선로가 지중화 된다.
결국 삼성전자 입지 등 수혜는 평택시가,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환경파괴 및 주민불편 등을 용인시와 안성시 주민들이 입게되는 셈이다.
시 측은 “일단 송전선로 안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용인지역을 주 선로로 통과하는 제1안과 원암리 주거지역을 관통하는 제2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앞으로 진행되는 추가 협의를 통해 용인지역 관통구간을 최소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 측은 안성~고덕 간 송전선로 문제 공론화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모습이다. 정부 시책사업이라는 이유에서다. 정부 정책사업을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반대할 수는 없다는 입장. 이미 공론화 돼 지역 주민들 주축으로 송전선로 건설 반대활동이 펼쳐지고 있는 안성시와는 다른 처지인 셈이다.
그러나 시의회는 특별위원회까지 구성한 안성시의회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신현수 의장은 “조만간 열릴 제5차 입지선정위원회에 내용을 본 후 시의회 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인근 지자체와 경계지역은 물론이고 도심 한복판에도 송전탑 천지인 용인지역에 더 이상 송전선로가 들어오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