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되는 단 하나의 이유 군웅할거시대 제왕의 학은 강(强)과 약(弱)으로 결정 되는데 그 기준점이 애민과 불애민이다. 철인 순자(荀子)는 자신의 책 순자 의병(疑兵)편에서 ‘애민자강(愛民者强) 불애민자약(不愛民者弱)-백성을 사랑하는 자는 강하고 백성을 사랑하지 않는 자는 약하다.’라고 했다. 이 말은 대학전문 10장 치국평천하장에 나오는 말로 ‘도득중즉득국(道得衆則得國) 실중즉실국(失衆則失國)-백성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 백성을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는 말이다. 이에 한비자는 주를 달기를 ‘자신의 욕심을 따르는 것보다 더 큰 화는 없고 타인의 허물을 말하는 것보다 더 큰 악은 없다.’고 했다. 요즘말로 쉽게 풀어 말하면 “대통령 출마자들은 대통령 출마하는 것이 자신의 가문의 영광 때문인지 아니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해서 출마를 하는 건지 이점을 분명히 하라는 얘기고, 또 하나는 남의 허물을 물고 늘어질게 아니라 나만이 할 수 있는 정책으로 승부수를 띠워라” 그런 말이다. 맹자는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이를 더 완곡히 표현 한다. ‘천시불여지리(天時不如地利) 지리불여인화(地利不如人和)-하늘이 때를 허락한들땅이 이를 받쳐 줘야하고 땅이 이를 받쳐 준다
하늘에 죄지으면 빌 곳조차도 없다는데. 검이불검(儉而不儉) 검소한듯하나 검소하지 못했고/ 지이부지(知而不智) 똑똑한듯하나 똑똑하지 못했고/ 치이불치(治而不治) 정치한듯하나 정치하지 못했고/ 용이불용(用而不用) 인재쓴듯하나 인재 쓰지 못했다/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직에서 파면된 혼군이라 불렸던 박근혜 씨에 대한 16자평이다. 신하가 왕을 몰아내는 것에 늘 못 마땅했던 제나라 선왕은 맹자를 만나자 대뜸 묻는다. 탕 왕이 걸 왕을 내쫓고 무왕이 주 왕을 정벌했다고 하는데 그게 사실인가. 맹자가 답하길 “역사기록에는 있지요” 왕이 다시 묻는다. “신하가 임금을 죽여도 괜찮은가”. 이에 맹자 답은 “인(仁)을 해치는 자를 도적(賊)이라 하고, 의(義)를 해치는 자를 잔(殘)악하다 하고 잔악한 자와 도적을 일러 필부라 하지요. 일개 필부(匹夫) 주의 목을 베었다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죽였다는 말을 듣지는 못했지요. 역성혁명(易姓革命)에 대한 전가의 보도로 쓰이는 맹자의 말이다. 제자백가답게 말이 꽤나 복잡한듯하지만 쉽게 말해서 그가 한 짓으로 그를 평가한다는 말이다. 여기서 맹자가 말한 평가대상은 왕인 당신도 포함된다. 그러니까 당신이 왕 아니라 그 할애비라
교회세습과 마태복음의 법칙 중고차 딜러를 하던 남편은 벌이가 시원찮다며 성형외과 일감 물어주기와 기획부동산 바람잡이로 활동한다. 아내는 식당에서 일하다가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프다며 가사 도우미로 활동 중이다. 대학에 재학 중인 큰 딸은 닥치는 대로 알바 하느라 공부하러 대학에 온 건지 돈 벌러 대학에 온 건지 구분이 안 간다고 한다. 아들은 다니던 대학 중퇴하고 공무원 되겠다며 노량진으로 갔다. 남편은 ‘목사였다가 아닌’ 지금도 매주 일요일이면 강단을 지켜야하는 목사다. 교인이라야 네댓 명이 전부다. 이들에게 있어서 교회는 짊어지고 가야하는 십자가가 아니라 버려야하는 짐이다. 처음에는 그야말로 불타는 사명으로 교회를 개척했다가 여의치 않아서 몇 곳 이사를 다니면서 개척은 서서히 교회 창업으로 진화해 갔다. 목사인 남편은 정직했다. 신학 동기인 그의 아내 역시 알토란 같이 야무졌다. 피아노도 제법 쳤고 영어도 곧잘 했다. 그런데 목회 현장은 믿음하고 달랐다. 하나님은 여전히 말이 없다. 은과 금은 없거니와 나사렛 예수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성전 미문에서 구걸하던 앉은뱅이에게 배드로가 한말이다. 그때 교회 안에는 하나님의 권능이 있었다. 그래서 그들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이제 뭐라 불러야 하나 <연산(燕山)혼차(昏虘)종사장위중의추대(宗社將危衆議推戴)>. 연산은 사리에 어두웠으며 마음이 모질어 나라가 위태롭게 되니 여럿이 의논하여 중종을 왕으로 추대했다. 이 글은 중종실록 권1 원년 병인 9월 1일자 첫줄 말미에 있는 기록이다. 실록은 연산군을 일러 폭군이나 암군 용군 혼군이 아닌 혼차라는 단어로 규정짓는다. 어두울혼과 모질차가 합쳐진 단어다. 강호는 박근혜 대통령을 일러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은 임금을 뜻하는 혼군(昏君)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크게 주저하지 않는다. 그런 그가 그나마도 혼군의 자리에서 지난 3월10일 11시23분을 정점으로 파면이라는 이름으로 쫓겨났다.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이정미 재판관은 탄핵 인용도 탄핵 각하도 탄핵 기각도 아닌 꽤나 완곡한 표현인 “파면” 이라고 똑 부러지게 말했다. 이로써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이 부여해준 5년의 대통령 임기를 못 채우고 청와대를 나와 그가 살던 집으로 갔다. 강호는 그 집을 일러 사저(私邸)라는 표현을 쓰는데 쫓겨난 임금이 돌아간 집에 대한 택호로는 적절치 않다. 문제는 그가 청와대를 나서면서 한 가지를 빼놓고 갔다는 사실이다. 다름
대한민국 헌법의 명령, 박근혜 대통령 탄핵 기원전 606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노나라 선공 3년 봄(선공삼년춘 宣公三年春)3월쯤 일이다. 초나라 장왕이 육혼 땅에 사는 오랑캐 융을 치고(초자벌륙혼지융楚子伐陸渾之戎), 마침내 낙수까지 쳐들어가(수지우락遂至于雒) 주나라 왕실의 경내에서 군대로 하여금 시위(示威)를 하게 했다(관병우주강(觀兵于周疆). 이에 놀란 주나라 정왕은 대부 왕손만을 보내어 초나라 장왕을 위로하게 하였는데(정왕사왕손만로초자定王使王孫滿勞楚子)초 장왕은 주나라의 보배인 솥(정鼎)의 크기와 무게를 묻는다(초자문정지대소경중언楚子問鼎之大小輕重焉). 대부왕손만은 다음과 같이 답한다(대왈對曰). 솥의 크기와 무게는 그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덕에 달려 있는 것이지 솥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닙니다(재덕불재정在德不在鼎). 옛날 하 나라의 천자가 훌륭한 덕을 가지고 있었을 때에는 (석하지방유덕야昔夏之方有德也)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에서도 자기들의 산천이나 기이한 물건의 형상을 그려서 바쳤습니다(원방도물遠方圖物). 그런데 하나라의 마지막 임금 걸왕은 악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걸유혼덕桀有昏德) 솥은 상<은>나라로 옮겨가서(정천우상鼎遷于商) 6
백성과 나라 사이에 어느 쪽이 우선일까. 자유가 노나라 무성 땅의 읍재가 되자 스승인 공자께서 “자네는 한 지역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인재는 얻었는가?”하고 묻자 자유는 ‘담대멸명’을 얻었다며 우쭐하니 말을 잇는다. ‘담대멸명’은 지름길로 다니지 않으며 공무가 아니면 일찍이 저의 집에 이른 적도 없습니다.<자유위무성재(子游爲武城宰)자왈(子曰) 여득인언이호(女得人焉爾乎) 왈유담대멸명자(曰有澹臺滅明者) 행불유경(行不由徑) 비공사(非公事) 미상지어언지실야(未嘗至於偃之室也.論語雍也)13>쉽게 말해서 공과 사의 구분이 분명한 인재를 얻었다는 말이다. 하루는 이회(李禬)가 제주 목사에 제수되어 떠나기 전날 사숙 윤선도(尹善道)를 찾아와 전별어(餞別語)를 청한다. 이에 윤선도는 윗글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정치를 한다는 것은 위정(爲政)관직의 높고 낮음이나 지역의 크고 작음을 논하지 말고(無論官之高卑地之大小) 반드시 인재 얻음을 우선으로 하라(必以人才爲先也). <孤山遺稿卷五送李濟州序> 이회는 1631년 인조 9년 별시문과 병과로 등과한 인물로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세자시강원사서로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청나라 심양 인질 때 동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구속 시대가 힘들면 사회적 약자가 당하는 체감 온도는 거대한 탁류로 엄습한다. 일제 강점기와 군부독재 유신시대를 거치면서 교육은 철저히 복종과 출세의 도구요, 통로요, 매개체가 되어 지식의 보상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 그 중심에 법복(法服)이라는 위압의 상징인 판검사가 있다. 단 한방에 인생의 반전을 꿈꾸는 우등불가 절차탁마적 세월이라는 기약도 없는 그 가혹함 속에서 똬리를 튼 농축된 이기심으로 잉태된 기능적 권력자들. 그들은 자신이 겪어온 지난함의 시간들을 보상받기 위하여 작심이라도 하듯 안할 짓도 못할 짓도 없는 지경에 이른다. 법복이 갖는 상징성은 법은 지위고하를 무론하고 만인에게 평등함을 본(本)으로 한다. 법은 결코 누군가에게 줄을 서지 않는다. 줄을 서는 순간 법은 기울기 때문이다. 법이 기울면 법은 특정인을 뺀 만인에게 불평등할 것이고, 이쯤 되면 법은 본말의 전도다. 실학자 반계 유형원은 ‘반계수록’이라는 이름으로 국가개조론을 썼는데 그 책 말미에 서수록후(書隨錄後)라는 이름의 후기에서 밝히기를 천하 이치에 본(本)말(末)대(大)소(小)는 서로 나뉘어 시작되지 않는다(天下之理 本末大小 未始相離). 치(寸촌)가
잡룡할거(雜龍割據)시대 주역(周易)권일(卷一)건괘(乾卦)는 잠룡(潛龍) 현룡(見龍) 비룡(飛龍) 항룡(亢龍)으로 시작된다. 잠용은 물속에 잠긴 용이고, 현용은 발톱만 드러낸 용이고, 비룡은 하늘을 날되 몸은 구름에 가려 머리와 꼬리만 보이는 용이고, 항용은 더 이상 올라갈 곳이 없어서 떨어질 날만 기다리는 용이다. 그리고 근자에 시대가 만든 용이 있으니 잡룡(雜龍?)들이다. 용은 용인데 워낙 꼴 같지 않다보니 세상은 그런 용들을 잡룡이라 불렀다. 여기엔 다분히 비아냥을 내함 한다. 깜도 안 되는 것들이 개나 소나 한자리 해먹겠다고 들이대는 꼬락서니가 먹고 살기 위해서 입에 단내가 나도록 자존심 꺾어 가면서 사는 국민들 눈에 좋게 보였을 리가 만무했으리라. 사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거기에 맞는 사람이 앉아야 옳다. 이 말속에는 그릇이 안 되면 스스로가 사양할 줄도 알아야 한다는 말이 생략됐다. 고래로 제왕학은 선비의 길에서 시작되는데 이는 쇄소응대진퇴지절(灑掃應對進退之節)을 몸에 익힌 후 수신제가치국평천하지문(修身齊家治國平天下之文)을 공부한다. 그래서 쇄소응대진퇴지절에서 절(節)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지문에서의 문(文)을 합쳐 절문이라 하는데 이 절문(節文
아! 김기춘 드디어……. 얼마 전 김기춘이 범죄자의 혐의로 구속, 은팔찌로 통하는 수갑을 찬 채 끌려 나오는 장면을 텔레비전 화면에서 봤다. 그곳에 다녀온 사람들의 전언에 의하면 들어가는 순간 가정 먼저 하는 일은 항문을 까는 일이란다. 누군가에게 유쾌하지 않은 일로 허리춤을 풀고 아랫도리를 드러낸 채 그곳을 까 보인다는 것은 죽기보다 싫은 몸짓이었으리라. 평생 누군가를 잡아서 구속시키는 일에만 익숙했던 사람으로서는 죽기 전에 이런 곳에 들어올 줄 상상이나 했겠는가. 아마도 이런 곳에 들어오기가 여간 하지가 않았으리라. 그래도 속 마른 기질은 살아있는지라 청문회 자리에서 어떡하든 살아 나가려고 발버둥 치는 모습에서 “명색이 검사출신이요, 법무부장관까지 했던 자도 별거 없구먼”하는 씁쓸한 뒷맛을 느꼈다. 김기춘은 정지된 대통령 박근혜 정부에서 살아있는 권력의 1인자였으며 새누리당 전대표 김무성 의원과 새누리당 전대표 이정현 의원과 더불어 박근혜 정부의 최측근 제1조력자임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물론 본인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인정하지 않겠지만 세상은 그렇게 본다는 말이다. 일이 이지경이 된 데는 언론의 방관도 한몫했으리라. 늘 그러하듯이 언론이 제 기능을
대선 출마예정자 풋내기 반기문씨의 언행 본인은 아니라고, 극구 우기지만 여러 정황상 “당신은 그런 게 맞다.” 라고 웅변한다. 미뤄보아 직무 정지된 대통령 박근혜는 헌법재판소 최후 판결 유무에 상관없이 국민의 마음 속에서는 이미 대통령으로서는 끝났다. 여기서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박근혜가 대통령으로서 단순히 끝났다는게 아니라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는 존엄이 이제 조롱거리로 전락됐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여기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나도 그까짓 대통령 한번쯤(?) 해보겠다고 어설프게 덤빈 사내가 있으니 세칭(世稱) 기름장어 반기문이다. 사실 반기문은 유엔 사무총장을 두 번씩이나 연임한 재원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대통령 그릇으로는 루항의 말로 한참 함량미달이다. 형수한테 썅욕을 해댔다고 전해지는 어느 지방의 수령과 지방관 자리를 놓고 붙는다면 가할 수는 있을지 모르겠다. 평생을 꽃가마만 타고 다니며 산해진미로 가득 차려준 밥상에서 입에 맞는 음식만 콕콕 날름 집어먹고 살았던 사람이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겠다며 천하를 주유하는 꼴이 정작 투표권을 쥔 국민은 영 탐탁치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세계의 대통령이라는 자리인 유엔 사무총장을 두 번이나 연임한 사람
우농의 세설 김승연 회장의 자식농사 참혹 하구나 “천하인간 누구에겐들 늙지 않은 이가 없다. 세상에서 가장 공평한일이 백발이다. 귀하고 돈 있는 자라해서 용서한 적이 없다.(世間公道唯白髮 貴人頭上不曾饒)” 라는 두목(杜牧)의 글에 대해 청나라 가경제 때 관리였던 두문란(杜文澜)은 자신의 책 「고요언」에서 현문(賢文)하길 “천년 된 땅에 주인이 800번이나 바뀌니 토지가 주인이요, 사람이 객이다.(千年田地八百主 田是主人人是客)”라는 말로 돈푼께나 있다고 거들먹거리는 인간의 오만함에 방점을 찍는다. 근자에 이르러 어느 부잣집 도련님들이 지애비 뒷배만 믿고 하늘 땅 사방 곳곳에서 지랄발광을 했다는 보도가 뒷배 없는 뭇 국민들의 뒷맛을 씁쓸케 한다. 아무리 돈이면 다라지만 이 돼먹지도 못한 인간 말종 같은 것들 때문에 가뜩이나 힘든 하루가 더 힘겹게 되는 것만은 사실이다. 물론 그들이 그렇게 발광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지 애비의 막대한 돈의 힘이 어느 정도 인가를 만천하에 증명해 보고 싶었을 것이다. 그 중심에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과 그 집구석이 있다. 본래 천것이 잇속은 밝은 법이라는데 사마천은 화식열전에서 범려의 셋째아들 예를 들어 “천금을 가
역량이 안 되면 무조건 내려와라. 대한민국 국가체제 수립 일을 1948년 8월15일로 본다면 2017년은 고희(古稀)를 맞는 해다. 공자 죽음 이면에는 제자 자로 죽음의 충격이 있다. 자로가 관을 쓴 채로 목이 잘려 머리가 소금에 절여 공자에게 배달된다. 이때 공자나이 71세다. 이일 후 공자는 집안에 있는 젓갈을 모두 버리고 죽을 때가지 젓갈을 입에 대지 않는다. 젓갈을 버린 일주일 후 자신의 일생을 회고 하는데 그 마지막 말이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七十而從心所慾不踰矩)다. 남자 나이 70세쯤 되면 뭘 하든 법도에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제자자로의 죽음에 대한 스승 공자의 처음이자 마지막 헌사(獻詞)다. 보도에 의하면 세수 70이 넘은 인명진 목사가 내시와 환관 천국으로 지칭되는 집권 여당의 수장 내시라는 별칭을 가진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를 내쳤다 한다. 그 중심에 국민 4프로 지지율을 자랑하는 정지된 대통령 박근혜가 있음은 자명한 일. 이정현 새누리당 전 대표하면 쌩뚱 맞게도 전혀 정반대의 도와 절의에 가득 찬 도은(陶隱) 이모(李某)<숭인崇仁>가 오버랩 된다. 일찍이 삼봉 전도전은 태조 이성계 즉위교서를 17개 항목으로 작성하는데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