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농의 세설>
풍패지관(豊沛之館)의 ‘之’를 보는 눈
사람을 보는 안목인 지인지감(知人之鑑)이란 뜬 후가 아닌 뜨기 전 발탁에 묘미가 있다. 38세의 표옹은 1593년 송강 정철의 서장관(書狀官) 자격으로 북경 숙소에 머문다. 숙소 부엌에서 청년이 문장을 흥얼대면서 아궁이에 불을 지핀다.
표옹은 청년에게 “화부(火夫)가 어찌 장주(莊周)의 남화진경(南華眞經)을 아는가.”라고 묻는다. 표옹이 도가의 서(書)에 밝은 까닭은 스승인 우계 성혼(成渾 1535-1598)영향이다. 우계는 백인걸의 문도인데 상서를 배우면서 도가의 서를 접한다. 우계의 일백문도 중 한명인 진천송후인(鎭川宋后人) 표옹(瓢翁) 송영구(宋英耉)가 도가의 서인 장자를 익히 아는 이유는 그런 학맥 때문이다. 이런 도학자들을 벼슬이나 권력을 탐하지 않는다하여 ‘처사’라 하는데 ‘정승’ 3명이 ‘대제학’ 1명만 못하고, ‘대제학’ 3명이 ‘처사’ 1명만 못하다(三政丞不如一大提學三大提學不如一處士)고 했다.
표옹 물음에 청년은 “벼슬 살려고 몇 년 전에 시골서 올라왔는데 매번 과거에 낙방하여 호구지책으로 장작을 패고 있습니다. 이에 무료하여 욉니다.”라고 답했다.
“그럼 문장을 지을 줄은 아는가” 하며, 포옹이 청년 앞으로 지필묵을 내밀며 한시 운자를 놓자 청년이 거침없이 짓는다. 놀란 표옹은 과거 시험에서 통용되는 모범 답안 작성 요령을 알려주고는 책과 함께 과거시험 공부하라며 거금의 돈까지 주고 일을 마치고 돌아온다.
2년 후 을미년(乙未) 1595년에 북경숙소 부엌에서 장작을 패던 청년 주지번(朱之蕃)은 과거에 장원을 한다. 그 후 13년 표옹이 52세 때 경상도 성주목사를 지냈으니까 46세 때 부터 지낸 청풍군수 임기를 끝낼 무렵인 표옹의 나이 51세 때 38세쯤 된 주지번이 중국 공식 사신의 자격으로 조선을 방문하면서 전주 서북쪽 50리 거리 쯤 왕궁면(王宮面) 장암리(場岩里)에 살고 있는 표옹을 찾아간다. 그 과정에서 전주 객사에 글씨 하나를 쓰는데 그 유명한 행서에 가까운 초서풍체로 풍패지관(豊沛之館)이다.
이 글자의 백미는 갈지 之다. 가로 4.66m 세로 1.79m의 크기도 엄청나지만 모든 글자가 갈지자를 중심으로 썼다. 우등불가에서 풍찬노숙의 삶을 살아가던 희망 없는 젊은이에게 오늘이 있게 해준 은인에 대한 무한 존경을 갈지자에 담은 것이다. 행여 누구라도 그 누군가에게 목숨 걸고 찾아와 글 한 줄로 보답 할 이를 가졌는가.